깃 허브 제외 해야 할 것들

 좋아요 😊 이제 “제외할 파일 지정” 방법을 아주 쉬운 방식으로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건 GitHub에 올라가지 않게 제외시킬 파일 을 미리 정해두는 방법이에요. ✅ 1️⃣ .gitignore 파일로 제외 지정하기 (가장 확실한 방법) 14 폴더 안 에 .gitignore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없다면 새로 만드세요. (Android Studio에서 File → New → File → 이름을 .gitignore 로 지정) 그 안에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넣으세요 👇 .idea/ .gradle/ local.properties build/ captures/ *.iml *.keystore *.jks *.apk *.aab 저장 ( Ctrl+S ) 이제 위 항목들은 자동으로 커밋 목록에서 제외 됩니다. (커밋 창에서 다시 안 보여요 ✅) ✅ 2️⃣ Commit 창에서 직접 제외하는 방법 (수동) 만약 .gitignore 를 아직 적용 안 했거나, 한 번만 제외하고 싶을 때는 Commit 창에서 체크 해제 로 처리합니다. Git → Commit... 클릭 “Changes” 목록에서 올릴 파일들이 쭉 보이죠? 올리지 않을 파일(예: .idea , build , .aab ) 왼쪽 체크박스를 클릭해서 체크 해제(☐) 나머지 필요한 파일만 ✅ 남겨두고 커밋 진행 ✅ 3️⃣ 커밋 후에도 올라간 파일을 제외하고 싶다면? 혹시 실수로 .idea 나 build 가 이미 올라갔다면, 다음 명령으로 깔끔히 제거할 수 있어요 👇 Android Studio 하단 Terminal 탭 열기 아래 명령 입력: git rm -r --cached .idea build git commit -m "Remove unnecessary files" git push 이러면 GitHub에서는 해당 폴더가 지워지고, 로컬에는 그대로 남아요 (프로젝트는 안전합니다). 💡 정리 ...

앱 아이콘 만들기 svg로 만들기

https://www.freeconvert.com/png-to-svg 이 싸이트로 만들면 된다  와—이제 다 잘 돌아간다니 최고네요! 🎉 이제 아이콘만 예쁘게 꾸미면 끝. “PNG로 바꾸기”와 “SVG 벡터로 쓰기” 두 가지 방법을 둘 다 정리해드릴게요. (코드는 안 바꿔도 되게, 리소스 이름을 그대로 ic_pause , ic_play , ic_stop 로 맞추는 게 포인트!) 선택 1) PNG로 대체 (가장 쉬움) 1) 파일 준비 권장 크기: 24dp 액션 아이콘 기준 → 픽셀(px) 크기 표 mdpi: 24 px hdpi: 36 px xhdpi: 48 px xxhdpi: 72 px xxxhdpi: 96 px 투명 배경(transparent) + 단색/밝은색 권장 (알림 배경과 대비 좋게) 2) 프로젝트에 넣기 방법 A: 한 파일만 쓰고 시스템이 자동 스케일 → res/drawable-nodpi/ 에 넣기 app/src/main/res 아래에 drawable-nodpi 폴더가 없다면 만들기 PNG들을 이름을 ic_pause.png , ic_play.png , ic_stop.png 로 저장 기존 동일 이름의 .xml 이 있다면 삭제 (같은 이름의 xml과 png가 동시에 존재하면 에러) 방법 B: 해상도별로 또렷하게 → drawable-mdpi/hdpi/xhdpi/… 각각에 넣기 각 폴더에 맞는 픽셀 사이즈로 저장 (위 표 참고) 이름은 모두 동일하게 ic_pause.png 등으로 통일 ✅ 레이아웃/코드 수정 없음: 그대로 @drawable/ic_pause 참조가 PNG로 바뀝니다. 3) 정리 Build > Clean Project → Rebuild Project 알림에서 잘 보이는지 확인 (RemoteViews는 이미지를 그대로 씁니다—틴트 안 걸어요) 선택 2) SVG 벡터로 쓰기 (가벼움/선명함, 권장) ...

쳇gpt 개발자 모드 바이브 코딩

이미지
개발자 모드 하면 어려운 코드도 잘 읽어 주는 것 같아요 구독 사용자에 한해서 나오는 거내요.

프로젝트 다시 열어야 할때 앱 다시 불러오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주신 이미지를 보니 Android Studio 의 File 메뉴를 캡처하신 것 같네요. (참고로, '앱 개발 스튜디오'는 보통 Android Studio 나 Xcode 등을 지칭합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그대로 두고 다른 프로젝트를 별도의 새 창에서 열고 싶을 때 선택해야 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프로젝트를 열기 위한 옵션 선택 📁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열려면, 이미지에서 보이는 메뉴 중 **"Open..."**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File" 메뉴를 클릭합니다. **"Open..."**을 선택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컴퓨터의 파일 탐색기가 열리며, 열고자 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폴더 (일반적으로 build.gradle 파일이 포함된 루트 폴더)**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Android Studio 는 이 경우 보통 "새 창에서 열겠습니까?", "현재 창을 닫고 열겠습니까?" 등의 질문을 합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유지하려면 "새 창에서 열기 (New Window)"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른 메뉴들의 용도 (참고) 💡 다른 옵션들도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 New Project... : 새로운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만들 때 사용합니다. Import Project... : 기존에 존재하던 프로젝트를 현재 열려 있는 창 안으로 가져오거나,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열 때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냥 **Open...**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Recent Projects : 이전에 열었던 프로젝트 목록이 나타나며, 쉽게 다시 열 수 있습니다. Close Project :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 창을 닫습니다. (Android Studio의 시작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요약하면, **"Open..."**을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

앱 튕길때 로그 보는 방법

  ✅ 로그 확인 방법 (중요) Android Studio 하단 탭 에서 Logcat 을 클릭하세요. (보통 Run 탭 옆에 있습니다. 안 보이면 View > Tool Windows > Logcat 선택하세요.) 상단의 Device/Emulator 드롭다운에서 실행 중인 디바이스(혹은 에뮬레이터)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 E (Error) 또는 FATAL 을 입력하면 크래시 로그만 걸러 볼 수 있어요. 크래시가 발생하면 보통 이런 로그가 찍힙니다: 이 로그를 드래그 복사 해서 쳇gpt에게 보여 주면 되네요. 너무 자잘한 버그는 어쩔수 없는 것 같다. 튕기는 문제 같은 큰 버그만 손질 하고 

쳇 gpt 아카이브

 보내주신 화면을 보니 아카이브 메뉴가 따로 표시되지 않는 버전 이에요 👍 현재 ChatGPT에서는 아카이브 메뉴가 항상 사이드바에 보이는 게 아니라, 대화별 메뉴(… 더보기 버튼) 안에서 “아카이브” 기능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카이브 하는 방법 왼쪽에 보이는 대화 목록(예: “코드 수정 요청”) 옆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세요. 거기에서 “아카이브(보관)”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대화가 목록에서 사라지고 보관됩니다. 아카이브된 대화 찾기 사이드바에서 바로 보이지 않을 수 있어요. 검색(“채팅 검색”) 기능 을 사용하면 아카이브된 대화도 함께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부 계정에서는 “라이브러리” 항목 안에서 아카이브된 대화가 정리되기도 해요. 👉 즉, 사이드바 하단에 아카이브 메뉴가 따로 안 보이는 건 정상 이고, 대화별 … 클릭 → 아카이브 선택으로 보관할 수 있어요. 원하시면 제가 PC 버전에서 아카이브 → 다시 복원하는 과정 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