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의 게시물 표시

또 슬프기 시작 했다 ㅎㅎ

 요즘 따라 그냥 이유 없이 슬퍼 질때가 있다는 어릴때 부터 그러긴 했는대.. 그냥 

앱 쳇gpt 수정 해야 할때 앱 만들때

이미지
 제가 만든 날씨 앱인대 몇가지 교정 할것이 있는 것 같아서요 zip 압축 해제 해서 코드를 검토 해주세요 검토가 끝나면 추가로 질문 드릴께요 zip 파일로 압축 해서 주면 해석 해준다 저번에는 안됬는대 이제는 해준다는 ㅎㅎ 한대 이렇게 하니 오류를 뿥는다 아직 zip는 완전 하지 않는듯 하다 처음에 줄때만 zip로 보여 주고 답변은 코드로 달라고 해야 하는듯 하다 수정 해야 할 전체 코드 주세요 이런식으로 클로드의 경우 Opus 4.1로 했더니 오류를 바로 찾아 내더라는 snonet 는 헛소리 좀 하고. 쳇gpt도 5도 못 잡아 내는거 잡아 냈다는 ㅎㅎ;; 

오늘은 똥을 많이 샀다

 똥이 몰려서 나온다는 하루 하루 싸는 경우가 대부분 인대 난 몰아서 싸는 느낌이다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닌대 생리 현상이 그래서 나도 어쩔수 없다는 ㅠ  

바이브 코딩 결론.. 클로드냐 쳇gpt냐 이렇게 문제 인대

 클로드의 장점도 있는대 단좀도 존재함.. 깃허브에 올려서 보내 주는거 참 좋은대.. 올리기 구찮음  쳇gpt는 zip로 압축 해서 앱을 올려 주면 알아서 보고 판단 해줌 이게 좋은 점 같음 그리고 한쪽에서 막히면 다른 애에게 물어 봐야함 제미나이도 그렇고 계속 물어 봐야 시간 낭비 초기 값을 가지고 다른 제품에게 물어 보고 구치면 됨 클로드에서 도저히 못 고쳐서 쳇gpt에게 가니 몇번 만에 고쳤음 ㅎㅎ

깃 허브 폴더에 복사 하기

추가 내용 아래 처럼 해보았지만 에러가 나고 안되서 결국 그냥 폴더를 거기에 넣어서 복사를 했다 이게 가장 안정빵 같음 ㅠㅠ 구찮게 만들었다는   Android Studio에서 서로 다른 프로젝트 윈도우 간에 파일을 복사할 때는 일반 복사-붙여넣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방법들을 시도해보세요: 방법 1: 드래그 앤 드롭 (가장 쉬운 방법) 좌측 프로젝트에서 복사할 파일/폴더를 선택 Ctrl 키를 누른 채로 우측 윈도우의 05 디렉토리로 드래그 Ctrl 키를 눌러야 복사되고, 안 누르면 이동됩니다 방법 2: 파일 탐색기 사용 좌측 프로젝트에서 복사할 항목을 선택 우클릭 → Show in Explorer (또는 Reveal in Finder )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폴더를 복사 우측 프로젝트의 05 디렉토리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열기 파일 탐색기에서 붙여넣기 Android Studio로 돌아가서 05 폴더에서 우클릭 → Reload from Disk 또는 Synchronize 방법 3: Refactor 메뉴 사용 좌측에서 복사할 파일 선택 F5 키 또는 우클릭 → Refactor → Copy 대상 경로를 우측 프로젝트의 05 디렉토리 경로로 입력 방법 4: 터미널 사용 Android Studio 하단의 Terminal 탭에서: cp -r /path/to/touch/* /path/to/odds-and-ends/05/ 추천: 방법 2(파일 탐색기)가 가장 확실하고 안전합니다! 😊 완벽해요 🎉👏 네, 정확하게 하셨어요 — 그 방법이 바로 정석이에요. 💡 요약 정리해드리면 ✅ Ctrl 누르고 드래그 → 복사 ❌ 그냥 드래그 → 이동 (원본이 사라질 수 있음) 📦 왜 이게 제일 확실하냐면 Android Studio는 사실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아니라 IDE(개발 환경) 이라서 프로젝트 간 복사 기능이 제한돼 있습니다. 그래서 Windows의 탐색기 기능(Ct...

앱을 깃허브에 올릴때 Push를 누르면 된다

이미지
main 누르면 되는 저는 이렇게 하려고요.. 본판 예를 들면 timer 란 폴더가 있는대 거기에는 로컬로 사용 하고. 여기서 성공한 건 그대로 코드를 복사 해서.. 깃허브 연결 된 timer 폴더에 있는 코드에 넣고.. 이걸 업로드 하고요. 따로 따로 분리 해서 클린 하게 실수 없이 쓰려고 합니다 초보자 이다 보니 바로 코드를 업로드 하고 실패 할까봐요 두개를 양분 하여 사용 하려고 하네요 즉 timer 란 폴더가 두개가 있는 거죠 깃 허브 폴더에 하나  직접 로컬 하게 수정 하는 timer 폴더 하나 이건 압축 해서 쓰는 폴더고요 백업 따로 해서.. 

앱 테스트 할때 비공개 테스트가 아니라 내부 테스트 해야 한다고

 전 1인 테스트 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군요. 많이 모여서 테스트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고 바로 승인이 된다고 하네요 비공개 테스트 처럼 오래 걸리지 않고요 몇분이면 된다고 하네요. 주의 사항 내부 개발자만 믿으면 안되는 군요 그 이유가 비공개 테스트 올렸더니 문제가 있다고 거부 당하더라고요 즉.. 비공개도 가끔 버전 업 하면서 되는지 봐야 하네요. 내부 테스트는 모두 허용 해주는대.. 비공개나 프로덕션은 매우 깐깐 하게 되네요 즉 너무 내부 개발만 믿으면 안되는 거죠

깃 허브 연결 방법

https://comi-ing.tistory.com/18 깃 허브 연결 하기 https://seong6496.tistory.com/778 깃 허브 토큰 얻는 방법 https://youtu.be/B3CtVb0unKE?si=z8j8ElKg4PSoEZH9  파일 연결 업로드 하는 방식 같네요

깃 허브 제외 해야 할 것들

 좋아요 😊 이제 “제외할 파일 지정” 방법을 아주 쉬운 방식으로 다시 알려드릴게요. 이건 GitHub에 올라가지 않게 제외시킬 파일 을 미리 정해두는 방법이에요. ✅ 1️⃣ .gitignore 파일로 제외 지정하기 (가장 확실한 방법) 14 폴더 안 에 .gitignore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없다면 새로 만드세요. (Android Studio에서 File → New → File → 이름을 .gitignore 로 지정) 그 안에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넣으세요 👇 # Android Studio / Gradle 기본 제외 항목 .idea/ .gradle/ local.properties build/ captures/ *.iml *.keystore *.jks *.apk *.aab 저장 ( Ctrl+S ) 이제 위 항목들은 자동으로 커밋 목록에서 제외 됩니다. (커밋 창에서 다시 안 보여요 ✅) 상위 폴더로 갈때는 open 누르고 new로 해서 경로로 가면 된다 ✅ 2️⃣ Commit 창에서 직접 제외하는 방법 (수동) 만약 .gitignore 를 아직 적용 안 했거나, 한 번만 제외하고 싶을 때는 Commit 창에서 체크 해제 로 처리합니다. Git → Commit... 클릭 “Changes” 목록에서 올릴 파일들이 쭉 보이죠? 올리지 않을 파일(예: .idea , build , .aab ) 왼쪽 체크박스를 클릭해서 체크 해제(☐) 나머지 필요한 파일만 ✅ 남겨두고 커밋 진행 ✅ 3️⃣ 커밋 후에도 올라간 파일을 제외하고 싶다면? 혹시 실수로 .idea 나 build 가 이미 올라갔다면, 다음 명령으로 깔끔히 제거할 수 있어요 👇 Android Studio 하단 Terminal 탭 열기 아래 명령 입력: git rm -r --cached .idea build git commit -m "Remove unnecessary files" git...

앱 아이콘 만들기 svg로 만들기

https://www.freeconvert.com/png-to-svg 이 싸이트로 만들면 된다  와—이제 다 잘 돌아간다니 최고네요! 🎉 이제 아이콘만 예쁘게 꾸미면 끝. “PNG로 바꾸기”와 “SVG 벡터로 쓰기” 두 가지 방법을 둘 다 정리해드릴게요. (코드는 안 바꿔도 되게, 리소스 이름을 그대로 ic_pause , ic_play , ic_stop 로 맞추는 게 포인트!) 선택 1) PNG로 대체 (가장 쉬움) 1) 파일 준비 권장 크기: 24dp 액션 아이콘 기준 → 픽셀(px) 크기 표 mdpi: 24 px hdpi: 36 px xhdpi: 48 px xxhdpi: 72 px xxxhdpi: 96 px 투명 배경(transparent) + 단색/밝은색 권장 (알림 배경과 대비 좋게) 2) 프로젝트에 넣기 방법 A: 한 파일만 쓰고 시스템이 자동 스케일 → res/drawable-nodpi/ 에 넣기 app/src/main/res 아래에 drawable-nodpi 폴더가 없다면 만들기 PNG들을 이름을 ic_pause.png , ic_play.png , ic_stop.png 로 저장 기존 동일 이름의 .xml 이 있다면 삭제 (같은 이름의 xml과 png가 동시에 존재하면 에러) 방법 B: 해상도별로 또렷하게 → drawable-mdpi/hdpi/xhdpi/… 각각에 넣기 각 폴더에 맞는 픽셀 사이즈로 저장 (위 표 참고) 이름은 모두 동일하게 ic_pause.png 등으로 통일 ✅ 레이아웃/코드 수정 없음: 그대로 @drawable/ic_pause 참조가 PNG로 바뀝니다. 3) 정리 Build > Clean Project → Rebuild Project 알림에서 잘 보이는지 확인 (RemoteViews는 이미지를 그대로 씁니다—틴트 안 걸어요) 선택 2) SVG 벡터로 쓰기 (가벼움/선명함, 권장) ...

쳇gpt 개발자 모드 바이브 코딩

이미지
개발자 모드 하면 어려운 코드도 잘 읽어 주는 것 같아요 구독 사용자에 한해서 나오는 거내요.

프로젝트 다시 열어야 할때 앱 다시 불러오기

이미지
  안녕하세요! 주신 이미지를 보니 Android Studio 의 File 메뉴를 캡처하신 것 같네요. (참고로, '앱 개발 스튜디오'는 보통 Android Studio 나 Xcode 등을 지칭합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그대로 두고 다른 프로젝트를 별도의 새 창에서 열고 싶을 때 선택해야 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프로젝트를 열기 위한 옵션 선택 📁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열려면, 이미지에서 보이는 메뉴 중 **"Open..."**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File" 메뉴를 클릭합니다. **"Open..."**을 선택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컴퓨터의 파일 탐색기가 열리며, 열고자 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폴더 (일반적으로 build.gradle 파일이 포함된 루트 폴더)**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Android Studio 는 이 경우 보통 "새 창에서 열겠습니까?", "현재 창을 닫고 열겠습니까?" 등의 질문을 합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유지하려면 "새 창에서 열기 (New Window)"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른 메뉴들의 용도 (참고) 💡 다른 옵션들도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 New Project... : 새로운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만들 때 사용합니다. Import Project... : 기존에 존재하던 프로젝트를 현재 열려 있는 창 안으로 가져오거나,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열 때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냥 **Open...**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Recent Projects : 이전에 열었던 프로젝트 목록이 나타나며, 쉽게 다시 열 수 있습니다. Close Project : 현재 열려 있는 프로젝트 창을 닫습니다. (Android Studio의 시작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요약하면, **"Open..."**을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

앱 튕길때 로그 보는 방법

  ✅ 로그 확인 방법 (중요) Android Studio 하단 탭 에서 Logcat 을 클릭하세요. (보통 Run 탭 옆에 있습니다. 안 보이면 View > Tool Windows > Logcat 선택하세요.) 상단의 Device/Emulator 드롭다운에서 실행 중인 디바이스(혹은 에뮬레이터)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 E (Error) 또는 FATAL 을 입력하면 크래시 로그만 걸러 볼 수 있어요. 크래시가 발생하면 보통 이런 로그가 찍힙니다: 이 로그를 드래그 복사 해서 쳇gpt에게 보여 주면 되네요. 너무 자잘한 버그는 어쩔수 없는 것 같다. 튕기는 문제 같은 큰 버그만 손질 하고 

쳇 gpt 아카이브

 보내주신 화면을 보니 아카이브 메뉴가 따로 표시되지 않는 버전 이에요 👍 현재 ChatGPT에서는 아카이브 메뉴가 항상 사이드바에 보이는 게 아니라, 대화별 메뉴(… 더보기 버튼) 안에서 “아카이브” 기능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카이브 하는 방법 왼쪽에 보이는 대화 목록(예: “코드 수정 요청”) 옆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세요. 거기에서 “아카이브(보관)”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대화가 목록에서 사라지고 보관됩니다. 아카이브된 대화 찾기 사이드바에서 바로 보이지 않을 수 있어요. 검색(“채팅 검색”) 기능 을 사용하면 아카이브된 대화도 함께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부 계정에서는 “라이브러리” 항목 안에서 아카이브된 대화가 정리되기도 해요. 👉 즉, 사이드바 하단에 아카이브 메뉴가 따로 안 보이는 건 정상 이고, 대화별 … 클릭 → 아카이브 선택으로 보관할 수 있어요. 원하시면 제가 PC 버전에서 아카이브 → 다시 복원하는 과정 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까요?

구버전 앱에서 최신 버전 앱으로 가져 오기

Android Studio에서는 전체 프로젝트를 묶어서 옮기는 방법이 있고, 하나씩 파일 복사하는 방법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프로젝트 단위로 이전하는 게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 --- 1️⃣ 전체 프로젝트 묶어서 이전 방법 1: 기존 프로젝트 그대로 새로운 Android Studio에서 열기 1. 기존 Android 8 프로젝트 폴더 전체를 복사 2. 새로운 Android Studio(최신 버전)에서 Open an existing project로 열기 3. Gradle/AGP/SDK 버전 업데이트 build.gradle에서 targetSdkVersion, compileSdkVersion 최신화 Gradle Wrapper 최신화 4. 빌드 후 발생하는 오류/경고 점검 5. 테스트 → 필요 시 코드 수정 > 장점: 구조 그대로 유지, 라이브러리 설정/리소스 그대로 적용 가능 단점: 오래된 프로젝트 구조라면 경고/오류 발생 가능 --- 방법 2: 프로젝트 압축 후 가져오기 1. 기존 프로젝트 전체 폴더를 ZIP 등으로 압축 2. 새로운 Android Studio에서 Import Project 선택 3. Gradle/AGP 버전 맞춰 빌드 4. 테스트 후 코드 수정 > 장점: 프로젝트 단위로 쉽게 이동 가능 단점: ZIP 압축/압축 해제 과정 필요 --- 2️⃣ 파일 단위로 복사 소스코드(.java/.kt), 리소스(res/), 매니페스트(AndroidManifest.xml)만 새 프로젝트에 붙여넣기 라이브러리, Gradle 설정 등은 새로 세팅 소규모 앱이나 단순 기능일 때만 추천 > 단점: 설정 누락 가능, 테스트 필요, 시간이 오래 걸림 --- 3️⃣ 실무 팁 단순 MP3 앱이면 전체 프로젝트 복사 → 새 프로젝트에서 AGP/Gradle/Target SDK 업데이트 → 테스트가 가장 효율적 기존 코드를 그대로 살리고, 빌드 환경 최신화 → 필요 시 최소 코드 수정 --- 원하시면 제가 **“Android 8 프로젝트 → 최신 Andro...

AGP 업데이트 해야 하는 이유 못해도 1년에 한번 정도는 업데이트 해야 한다고. 앱 보안 업데이트

업데이트를 안하면 구글 플레이에서 앱이 내려 갈수도 있다내요 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말하는 **AGP(Android Gradle Plugin)**는 앱을 빌드(compile)하고 패키징하는 데 사용하는 Gradle용 플러그인 이에요. 쉽게 말하면,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 때 필요한 빌드 도구 세트 앱을 APK나 AAB로 묶어주는 역할 의존성 관리, 리소스 최적화, 코드 난독화, 테스트, 서명(signing) 등 빌드 과정 전반을 담당 입니다. 왜 업데이트하라고 할까요? Gradle 버전/Android Studio 버전과 호환 문제 때문이에요. 최신 Android SDK 나 **빌드 기능(예: Compose, Kotlin 최신 기능)**을 쓰려면 최신 AGP가 필요해요. 오래된 버전은 보안·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권장이 뜹니다. 확인하는 방법 build.gradle(Project) 파일에서 보통 이렇게 되어 있어요: dependencies { classpath "com.android.tools.build:gradle:8.5.0" } 여기 "8.5.0" 이 바로 AGP 버전이에요. 업데이트하면 이 숫자가 최신으로 바뀌어요. 👉 질문 주신 걸 보니, 업데이트하신 건 잘 하신 거예요. 😊 혹시 업데이트 이후에 앱이 빌드가 안 된다거나 오류가 생기나요? 아니면 그냥 AGP가 뭔지 궁금하신 거예요? 좋은 질문이에요 👍 AGP(Android Gradle Plugin) 업데이트 주기 는 사실 Google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같이 릴리스하는 주기 를 따라갑니다. 📌 AGP 업데이트 주기 (대략) 보통 1년에 3~4회 정도 새 버전이 나옵니다. 메이저 업데이트(예: 7.x → 8.x)는 1년에 1회 정도 마이너 업데이트(예: 8.2 → 8.3)는 분기별(3~4개월) 즉, 완전히 1년 동안 업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