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의 게시물 표시

앱 통계 시계열의 의미

  앱의 비공개 테스트 중 통계 시계열에 대한 질문에 답변해 드릴게요. 통계 시계열의 개념 통계 시계열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된 데이터 를 의미해요. 앱의 비공개 테스트에서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예: 앱 사용 시간, 기능별 클릭 수, 오류 발생 횟수, 설치/삭제 시점 등)를 시간 순서대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말하죠. 컴퓨터가 자동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는 게 맞습니다. 통계 시계열 분석의 목적과 반영 사례 통계 시계열 분석 을 하는 주된 목적은 앱의 성능, 사용자 행동 패턴,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함이에요. 성능 최적화 : 특정 시간대에 앱 사용량이 급증하는 것을 발견하면, 서버 부하에 대비해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어요. 사용자 경험 개선 : 특정 기능의 사용률이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면, 해당 기능의 UI/UX를 개선하거나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죠. 문제점 발견 및 예측 : 특정 시점에 오류 발생 횟수가 급증하는 것을 포착하면, 해당 시기에 배포된 업데이트나 특정 기능에 버그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어요.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 업데이트 계획이나 새로운 기능 개발에 반영되어 앱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 공백 현상 앱을 지우지 않았는데도 통계 시계열에 공백 이 생기는 현상은 버그일 수도 있지만,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어요. 몇 가지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아요. 네트워크 문제 : 사용자의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여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요. 사용자 동의 철회 또는 설정 : 사용자가 앱의 데이터 수집에 대한 동의를 철회했거나, 기기 설정에서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을 제한했을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아요. 앱 비활성화 : 사용자가 장기간 앱을 실행하지 않거나, 기기에서 앱이 강제 종료된 경우에도 데이터 수집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서버 오류 :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앱 스튜디오 AGP 업그레이드 스타트 버튼이 안보일때

이미지
  제공된 여러 스크린샷들을 종합해 보면, MainActivity 의 실행 버튼(Run 버튼)이 비활성화된 이유는 프로젝트의 Gradle 빌드 문제 때문으로 보입니다. Android Studio는 프로젝트에 심각한 오류가 있을 경우, 정상적인 실행을 막기 위해 실행 버튼을 비활성화합니다. 문제 원인 분석 참조 오류 ( Unresolved reference ) : MusicService.kt 파일에서 ic_pause , ic_play_arrow , ic_stop 등 여러 아이콘 리소스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drawable 폴더를 확인한 결과, ic_pause.xml , ic_play_arrow.xml , ic_stop.xml 파일이 존재하지만, 코드에서는 이를 참조하는 데 실패하고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 캐시 문제, 빌드 구성 오류, 또는 파일명에 오타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경고 및 사용 중단된 API ( Deprecated ) : MusicService.kt 에는 requestAudioFocus , stopForeground , abandonAudioFocus 와 같은 함수들이 모두 사용 중단( deprecated )되었다는 경고가 다수 표시됩니다. 이는 코드 자체의 기능적 문제라기보다는, 최신 Android 버전에서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 오래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경고는 빌드를 막지는 않지만, 코드의 품질을 낮추고 향후 업데이트 시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Gradle 빌드 오류 : build.gradle.kts 파일에서 여러 경고가 나타납니다. 특히, composeOptions 와 관련된 경고와 androidx.media:media 라이브러리의 최신 버전 사용에 대한 경고가 있습니다. "The existing version catalog reference (libs.androidx.core.ktx) instead"와 같은 경고는 최신 Gradle 프로젝트에서 권장되는 버전 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