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비공개 테스트 끝나면

비공개 테스트가 끝났다고 해서 바로 앱을 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비공개 테스트는 앱의 안정성과 사용자 피드백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이 과정이 완료되면 최종 출시(프로덕션 트랙)를 위한 몇 가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 기준)에서 비공개 테스트 후 앱을 출시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공개 테스트 종료 및 프로덕션 액세스 신청:
   * 비공개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예: 14일) 동안 최소 인원(예: 12명 또는 20명 이상)의 테스터가 참여해야 합니다.
   * 이 조건이 충족되면 Google Play Console에서 "프로덕션 신청" 또는 "프로덕션 액세스 신청"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 프로덕션 신청 시, Google에서 제공하는 질문(앱 정보, 테스트 결과, 개인 정보 처리 방침 등)에 답변해야 합니다. 이 답변은 상세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프로덕션 트랙으로 앱 업로드 및 설정:
   * 비공개 테스트에 사용했던 앱과 동일한 앱 번들(AAB 파일)을 프로덕션 트랙에 다시 업로드합니다.
   * 출시할 국가/지역을 선택합니다. (모든 국가를 선택하거나 특정 국가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스토어 등록 정보(앱 이름, 아이콘, 설명, 스크린샷, 프로모션 비디오 등)가 최종 출시 버전에 맞게 잘 준비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업데이트합니다.
 * 앱 심사:
   * 프로덕션 트랙에 앱을 업로드하고 출시를 신청하면 Google의 심사를 거치게 됩니다.
   * 심사에는 보통 며칠에서 일주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앱 업데이트의 경우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 심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되면 Google에서 거부 사유를 통보하며, 이를 수정하여 다시 심사를 요청해야 합니다. 심사 거부 시 다시 비공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비공개 테스트 단계에서 최대한 많은 버그를 잡고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앱 출시:
   * 심사가 통과되면 앱이 Google Play 스토어에 정식으로 출시됩니다.
   * 출시 시점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고, 심사 통과 즉시 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앱 출시 전 최종 점검 사항 (비공개 테스트 이후 추가적으로 확인할 사항):
 * 최종 앱 안정성 확인: 비공개 테스트에서 발견된 모든 버그가 수정되었는지, 앱이 다양한 기기 및 OS 버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 성능 최적화: 메모리 사용량, 배터리 소모량, 로딩 속도 등 성능 관련 부분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최적화합니다.
 * UI/UX 최종 점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이 직관적이고 일관적인지, 접근성 문제는 없는지 확인합니다.
 * 개인 정보 처리 방침 및 약관: 앱이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개인 정보 처리 방침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Google Play 정책상 필수)
 * 저작권 및 상표권: 앱 내 사용된 모든 콘텐츠(이미지, 사운드, 폰트 등)에 대한 저작권 및 상표권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마케팅 전략: 앱 출시 후 사용자 유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앱 설명, 스크린샷, 프로모션 영상, 광고 등)이 잘 준비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요약하자면, 비공개 테스트는 성공적인 앱 출시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지만, 그 자체가 출시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비공개 테스트를 통해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앱을 개선하고, 구글 플레이 정책에 맞춰 최종 출시를 위한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발로란트 1067 오류

허리 펴면 멍든 느낌으로 아풀때 척추 경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