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을 깃허브에 올릴때 Push를 누르면 된다
저는 이렇게 하려고요.. 본판 예를 들면 timer 란 폴더가 있는대 거기에는 로컬로 사용 하고. 여기서 성공한 건 그대로 코드를 복사 해서.. 깃허브 연결 된 timer 폴더에 있는 코드에 넣고.. 이걸 업로드 하고요. 따로 따로 분리 해서 클린 하게 실수 없이 쓰려고 합니다 초보자 이다 보니 바로 코드를 업로드 하고 실패 할까봐요 두개를 양분 하여 사용 하려고 하네요
즉 timer 란 폴더가 두개가 있는 거죠
깃 허브 폴더에 하나
직접 로컬 하게 수정 하는 timer 폴더 하나 이건 압축 해서 쓰는 폴더고요 백업 따로 해서..
좋아요,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
지금 캡처에 보이는 메뉴(Git → Update Project)는 “서버(GitHub)에 있는 최신 코드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Pull)” 기능이에요.
즉:
-
“업데이트(Update Project)” = **내 로컬(PC)**에 GitHub의 변경 사항을 내려받는 것입니다.
-
반대로 **“Push”**는 내 로컬 변경 사항을 GitHub에 올리는 것이에요.
🔁 정리하면
| 기능 | 하는 일 | 방향 |
|---|---|---|
| Update Project (Ctrl+T) | GitHub → 내 PC로 최신 코드 가져오기 | ↓ 내려받기 |
| Push | 내 PC → GitHub으로 올리기 | ↑ 업로드 |
| Commit | 내 PC 안에서 “변경 기록 저장” (GitHub에는 아직 안 올라감) | 내부 저장 |
| Commit and Push | 내 변경 기록을 저장하고 즉시 GitHub에 업로드 | 내부 저장 + 업로드 |
✅ 지금 동우님 상황이라면
“기존 파일에서 일부를 수정했고, 그걸 GitHub에 반영하고 싶어요”
그럴 때는 아래 순서로 해야 합니다 👇
-
왼쪽 Commit 창 열기
(단축키 Alt + 0 또는 하단의 "Commit" 버튼 클릭) -
변경된 파일들을 확인 → 체크박스로 선택
-
메시지 입력:
예:수정: 알람 중복 문제 해결 -
[Commit and Push] 클릭
→ 바로 GitHub에 반영됩니다.
⚠️ 주의
지금처럼 “Update Project”를 누르면 GitHub 쪽 변경 내용이 내 코드에 덮어쓰기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수정한 내용이 깃허브보다 최신이라면,
Push만 사용하세요 (Update는 하지 마세요).
필요하시다면 지금 동우님의 프로젝트 기준으로
“수정된 코드만 깃허브에 안전하게 올리는 절차”를
한 줄씩 터미널 명령어 버전으로도 정리해 드릴까요?
(예: git status, git add ., git commit -m "...", git push origin main)
깃 허브 올릴때 따로 따로 분리 해서 정리 해서 쓰기 로컬 폴더 두개로 나누고.
온라인으로 들어 가는 폴더 따로 쓰기 내부 테스트 하고 나서.. 완성 되면 온라인에 연결된 폴더 쓰기
완벽합니다 동우님 👏
지금 말씀하신 방식이 **초보자이면서도 안정적으로 깃허브를 관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딱 두 폴더 구조로 나누는 전략이 아주 똑똑합니다 💡
💾 동우님 방식 정리
① 로컬 전용 작업 폴더 (예: C:\AndroidStudioProjects\timer)
-
실험 / 수정 / 테스트 / 빌드 / 실패 가능성 있는 코드
-
실패하더라도 깃허브에는 영향 없음
-
필요 시 이 폴더를 압축(
timer_backup_날짜.zip)해서 백업 -
말 그대로 “실험실” 역할입니다 🧪
② 깃허브 연동 폴더 (예: C:\AndroidStudioProjects\odds-and-ends\timer\14)
-
로컬에서 완성·검증된 코드를 복사해와서 저장
-
여기서
Commit→Push로 깃허브에 업로드 -
깃허브에는 항상 깨끗하고 작동되는 코드만 존재
-
깃허브 저장소가 **안정된 버전 관리용 “공개 창고”**가 됩니다 🏛️
✅ 이 방식의 장점
| 항목 | 장점 |
|---|---|
| 안전성 | 실험용 코드가 깃허브에 잘못 올라갈 위험이 없음 |
| 백업 용이 | 로컬 폴더만 복사해두면 언제든 복원 가능 |
| 정리 쉬움 | 깃허브에는 항상 최신 안정 버전만 남김 |
| 에러 최소화 | git 충돌, 병합 문제 거의 발생 안 함 |
💡 전문가들은 어떻게 하냐면?
전문 개발자들은 깃허브 폴더 하나만 쓰고,
-
실험용은 **“branch(브랜치)”**를 따로 만들어서 개발합니다.
예:git checkout -b feature/timer-test그리고 테스트 끝나면
main브랜치로 병합(Merge)합니다.
하지만 이건 git 개념을 완전히 익힌 뒤 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지금처럼 “실험용 로컬 폴더 + 깃허브 업로드용 폴더” 이 구조가
훨씬 직관적이고 안전합니다 👌
요약하면
💬 “로컬에서 완성된 것만 깃허브 폴더로 복사 → Commit → Push”
이게 동우님에게는 가장 클린하고 실수 없는 프로 워크플로우예요.
원하시면 제가 이 구조를 기준으로
📦 “안전하게 백업 & 깃허브에 업로드하는 3단계 절차서”
를 짧게 만들어드릴까요?
(예: 단계별로 복사 → 확인 → 커밋 → 푸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