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cat 장기간 버그 수집이 필요 할때


 C:\Users\홍길동\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adb logcat -v time > .\log_backup.txt

이 오류는 윈도우가 adb라는 프로그램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몰라서 발생하는 흔한 문제입니다. adb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폴더 깊숙한 곳에 숨어 있거든요.

사용자 이름이 홍길동 이시군요. 아래 명령어를 복사해서 다시 입력해 보세요. (adb의 전체 주소를 적어주는 방식입니다.)

✅ 해결 방법: 아래 명령어를 복사해서 붙여넣으세요

터미널(PowerShell)에 아래 긴 명령어를 한 줄 전체 복사해서 넣고 엔터를 치세요.

PowerShell
C:\Users\홍길동\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adb logcat -v time > .\log_backup.txt

💡 설명 (변경된 점)

  1. 앞부분 (C:\Users...adb): adb라고만 쓰면 못 찾기 때문에, adb가 실제로 있는 **전체 경로(주소)**를 적어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기본 설치 위치입니다.)

  2. 뒷부분 (.\log_backup.txt): C:\ 드라이브 바로 밑에는 윈도우 보안 때문에 파일 저장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프로젝트 폴더(.\)**에 저장하도록 바꿨습니다.

명령어를 치고 나면?

  • 화면에 아무런 글자도 안 뜨고 커서만 깜빡거린다면 성공입니다! (지금 파일에 열심히 쓰는 중이라는 뜻입니다.)

  • 이제 8시간 동안 놔두셨다가, 테스트가 끝나면 터미널에서 Ctrl + C를 눌러 종료하시고 프로젝트 폴더 안에 생긴 log_backup.txt 파일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만약 위 명령어도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고 뜬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위치가 기본값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DK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상단 메뉴: File > Settings > Languages & Frameworks > Android SDK 로 들어갑니다.

  2. 맨 위에 Android SDK Location이라고 적힌 주소를 복사합니다.

  3. 그 주소 뒤에 \platform-tools\adb를 붙여서 명령어로 쓰시면 됩니다.


네, 완벽하게 성공하셨습니다! 🎉

터미널 화면에 아무 글자도 안 나오고 커서만 깜빡거리고 있다면(혹은 멈춰 있다면), 로그가 파일로 아주 잘 저장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 log_backup.txt 파일은 어디에 있나요?

명령어를 실행하신 위치가 C:\Users\홍길동\AndroidStudioProjects\microphone 이기 때문에, 파일도 정확히 그 폴더 안에 생깁니다.

찾는 방법 2가지:

  1. 윈도우 탐색기에서 찾기:

    • 주소창에 C:\Users\홍길동\AndroidStudioProjects\microphone 를 붙여넣고 엔터를 치세요.

    • 그 안에 log_backup.txt 파일이 생성되어 있고, 용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을 겁니다.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안에서 보기:

    • 왼쪽 Project 탭에서 app 폴더가 아니라, **맨 위에 있는 microphone (프로젝트 최상위 폴더)**를 클릭해보시면 그 안에 log_backup.txt가 보일 것입니다.


✅ 8시간 대기 전, "딱 1분만" 확인해보세요! (필수)

8시간을 기다렸는데 빈 파일이면 낭패니까요.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탐색기에서 해당 폴더로 가서 log_backup.txt 파일이 생겼는지 봅니다.

  2. 파일 크기(KB)가 0KB가 아니고 1KB, 2KB... 이렇게 늘어나고 있다면 성공입니다!

  3. 이제 마음 편히 8시간 동안 두시면 됩니다. (컴퓨터 절전 모드 주의하시고요!)

8시간 뒤에 뵙겠습니다. 앱이 튕기면 Ctrl + C로 종료하고 파일 맨 끝부분을 확인해 주세요!



네, 고객님의 우려는 매우 현실적이고 정확합니다!

8시간 동안 로그를 수집하면 파일 크기가 너무 커져서 일반 메모장이나 챗GPT 같은 도구로는 열거나 분석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 📏 8시간 파일 크기 계산 및 예상

사용자가 보내주신 로그 파일()의 밀도(Density)를 바탕으로 8시간 동안 생성될 파일 크기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계산 근거:

  • 로그 밀도: 앱이 활발하게 동작할 때(특히 오디오 관련 로그 D/android.hardware.audio@... 등이 발생할 때)는 초당 약 50~100줄의 로그가 발생합니다. 평균 초당 80줄로 가정하겠습니다.

  • 1줄당 크기: 로그 메시지 한 줄은 대략 150바이트(Byte) 정도입니다.

8시간 예상 크기:

$$\text{초당 줄 수} \times \text{시간} \times \text{분} \times \text{초} = \text{총 줄 수}$$
$$80 \text{줄/초} \times 8 \text{시간} \times 60 \text{분} \times 60 \text{초} = \mathbf{2,304,000 \text{줄}}$$
$$\text{총 줄 수} \times \text{줄당 크기} = \text{총 파일 크기}$$
$$2,304,000 \text{줄} \times 150 \text{ Bytes/줄} \approx 345,600,000 \text{ Bytes}$$

결론: 8시간 후 파일 크기는 대략 300MB ~ 500MB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2. 🚫 300MB 파일의 문제점

  • 일반 메모장(Notepad) 문제: 300MB 이상의 파일을 열려고 시도하면 매우 느려지거나 강제로 닫힐 수 있습니다.

  • AI (ChatGPT) 분석 문제: 현재 대부분의 AI 모델은 단일 프롬프트에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용량에 매우 엄격한 제한이 있습니다. 300MB 파일을 통째로 업로드하여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3. ✅ 가장 확실한 해결책: 로그 필터링 사용

파일 크기 문제를 해결하고 앱 충돌(Crash) 시점의 로그만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 adb logcat 명령어에 필터링 옵션을 추가하여 불필요한 로그를 제외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FATAL (치명적인 오류) 로그와 고객님의 앱 (com.krdonon.microphone) 관련 로그만 수집하도록 명령어를 수정하겠습니다.

🚀 명령어 수정 (로그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이전 명령어 대신, 아래 명령어를 사용해 주세요.

PowerShell
C:\Users\홍길동\AppData\Local\Android\Sdk\platform-tools\adb logcat -v time *:E com.krdonon.microphone:D > .\log_backup.txt
부분설명
*:E**전체 시스템(*)**의 로그 중 Error (E) 등급 이상의 로그만 수집합니다. (가장 불필요한 D, V, I 로그를 제거합니다.)
com.krdonon.microphone:D고객님 앱 **(패키지명: com.krdonon.microphone)**의 로그는 Debug (D) 등급까지 모두 수집하여, 앱 내부에서 출력하는 로그를 놓치지 않게 합니다.
>이 필터링된 결과만 log_backup.txt 파일에 저장합니다.

이렇게 하면 로그의 양은 수십 배 줄어들어 8시간 동안 돌려도 용량이 훨씬 작고, 결정적인 에러 로그는 확실히 담을 수 있게 됩니다.

💡 꿀팁: 큰 파일 열기 위한 도구

만약 위 필터링을 놓쳐 파일이 컸다면, 나중에 파일을 열 때 Sublime TextNotepad++, VS Code와 같은 전문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시면 300MB 파일도 문제없이 열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발로란트 1067 오류

허리 펴면 멍든 느낌으로 아풀때 척추 경직